현대언어학회(Modern Language Association)에서 제안하는 양식으로 어학, 문학을 비롯한 인문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.
MLA Style: http://www.mla.org/style
예시1 - (Zola and Vizetelly)
예시2 - (전성기)
예시1 - Zola, Emile, and Ernest Alfred Vizetelly. Abbae Mouret's Transgression. New York: Mondial, 2005.
예시2 - 전성기. 번역인문학과 번역비평. 서울: 고려대학교출판부, 2008.
예시1 - (Sauble-Otto 255)
예시2 - (안덕선 70)
예시1 - Sauble-Otto, Lorie Gwen. "Writing in Subversive Space: Language and the Body in Feminist Science Fiction in French and English." Ph.D. The University of Arizona, 2001. United States -- Arizona: .
예시2 - 안덕선. "의료임상레토릭 시론." 국내석사학위논문. 고려대학교 대학원, 2005. 서울: .
예시1 - (Hirshleifer 500-502)
예시2 - (전성기 475-499)
예시1 - Hirshleifer, J. "Shakespeare Vs Becker on Altruism - Importance of having Last Word."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15.2 (1977): 500-2.
예시2 - 전성기. "문학 해석번역론 재해석." 佛語佛文學硏究 80.- (2009): 475-99.
미국심리학회(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)에서 제안하는 양식으로 심리학, 교육학을 비롯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.
예시1 - (McCartney, 2000)
예시2 - (신현석, 2005)
예시1 - McCartney, C. E., & Slavin, R. E. (2000). Study guide for slavin educational psychology. Boston, Mass.: Allyn and Bacon.
예시2 - 신현석. (2005).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. 서울: 학지사.
예시1 - (Acedo, 1999)
예시2 - (손승현, 1996)
예시1 - Acedo, C. (1999). Justice in development: A philosophical analysis with implications for social and educational policy. (Ph.D., Stanford University).
예시2 - 손승현. (1996). 學習障碍兒의 特性에 關한 硏究. (국내석사학위논문, 고려대학교).
예시1 - (Klassen, 2010)
예시2 - (한성열, 1994)
예시1 - Klassen, R. M., Usher, E. L., & Bong, M. (2010). Teachers' collective efficacy, job satisfaction, and job stress in cross-cultural context.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, 78(4), 464-486.
예시2 - 한성열. (1994). 한국문화와 그릇된 교육의식 및 관행.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, 1(1), 95-107.
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『The Chicago Manual of Style』에 기초한 양식으로, (1) notes and bibliography 과 (2) author-date의 두가지 형식이 있으며 인문학 분야에서는 첫 번째 notes and bibliography 형식이 선호되고 있습니다.
Chicago Manual of Style: http://www.chicagomanualofstyle.org/
예시1 - (Hacking 2001)
예시2 - (임홍빈 2002)
예시1 - Hacking, Ian. An Introduction to Probability and Inductive Logic. Cambridge: Cambridge University Press, 2001.
예시2 - 임홍빈. 세계화의 철학적 담론. 서울: 문예, 2002.
예시1 - (Maslen 2000, 155)
예시2 - (오상무 1991, 55)
예시1 - Maslen, Ceiddwen Ann. "Causes, Effects, and Contrasts." Ph.D., Princeton University, 2000.
예시2 - 오상무. "康有爲의 三世說 硏究." 국내석사학위논문, 高麗大學校, 1991.
예시1 - (Vlastos 1985, 1-31)
예시2 - (손병석 1999, 167-191)
예시1 - Vlastos, G. "Socrates Disavowal of Knowledge." Philosophical Quarterly 35, no. 138 (1985): 1-31.
예시2 - 손병석. "폴리스는 자연적 존재인가?" 哲學硏究 44, no. 1 (1999): 167-191.
Last modified: Jan. 2, 20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