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료유형 | 단행본 |
개인저자 | 남태우.,
|
서명/저자사항 | (도서관의 신)헤르메스를 찾아서 /남태우 저. |
발행사항 | 서울 : 창조문화 , 2005. |
형태사항 | xii, 429 p. : 삽도 ; 24 cm. |
ISBN | 8991652034 |
일반주기 | '금서의 미혹 유혹의 도서관'을 수정 발행함 |
서가에 없는 책 찾기
모바일발송
No. | 소장처 | 청구기호 | 등록번호 | 도서상태 | 반납예정일 | 예약 | 분관대출 | 서비스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중앙도서관/제2자료실(3층)/ | 098.1 2005 | 111342145 | 대출가능 | ||||
2 | 학술정보관(CDL)/B1 국제기구자료실(보존서고)/ | 098.1 2005 | 111342146 | 대출가능 | ||||
3 | 중앙도서관/교육보존(보건)/ | 098.1 2005 | 141048986 | 대출가능 | ||||
4 | 세종학술정보원/인문자료실1/ | 098.1 2005 | 151190431 | 대출가능 |
![]() ![]() |
|||
5 | 세종학술정보원/보존서고/ | 098.1 2005 | 151190432 | 대출가능 |
![]() ![]() |
목차
로고스의 문을 열며
1 기억의 여신 므네모쉬네 = 3
1.1 기억의 여신 9자매 무사이의 탄생 = 4
1.2 문자의 신 토트의 탄생 = 8
1.3 '도서관의 신' 헤르메스 = 13
1.4 금지된 신의 지혜를 탐낸 이집트의 마법사 = 19
1.5 신비의 마법의 서 「에메랄드 테블릿」 = 21
1.6 기억의 신과 문자 신의 갈등 = 24
1.6.1 스승은 그렇게 말하셨다 = 30
1.6.2 플라톤의 대화술 = 31
1.6.3 요산의 독법 = 33
1.6.4 왕간의 책은 책이고 나는 나다 = 34
1.6.5 채근담에서의 무자서와 무현금의 진미 = 35
1.7 무덤 속의 도서관으로서 '사자의 서' = 40
1.7.1 장례식과 미라화의 의식 = 40
1.7.2 이집트의 사자의 서 = 47
1.7.3 티벳의 사자의 서 = 50
1.7.4 영혼의 무게 재기 = 57
2 서양 지식의 보고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: 화염속의 책, 불타는 도서관 = 63
2.1 세계 지식의 보고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= 64
2.1.1 학문의 전당 무세이온의 건립 = 67
1) 알렉산드리아 대 도서관ㆍ박물관의 흥망성쇠 = 76
(1) 박물관의 설립 = 77
(2) 도서관의 설립 = 81
① 서적 수집광인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푸스 = 83
② 자매 도서관 : 부르치움과 세라피엄 = 85
부르치움 도서관 = 86
세라피엄 도서관 = 87
2.1.2 알렉산드리아 학파 = 90
2.2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마지막 관장의 딸인 히파티아 이야기 = 92
2.2.1 최초의 여성 수학자로서의 히파티아 = 93
2.2.2 히파티아의 전설적인 명성 = 96
2.2.3 자유연애를 즐긴 '아름다움과 지혜'의 여신 = 98
2.2.4 종교에 대항하는 과학의 용감한 옹호자 = 99
2.2.5 히파티아에 대한 문학적 신화화 = 101
2.3 불타버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그 소란스러운 역사 = 104
2.3.1 알렉산드리아 대 도서관의 파괴 = 106
1) 율리시스 카이사르의 파괴설 = 108
2) 칼리프 오마르의 파괴설 = 116
3) 기독교들에 의한 도서관 방화 = 119
3 시민들의 지식공간 공공도서관의 출현 = 129
3.1 로마 초기 도서관의 장서 = 130
3.2 공중목욕탕과 도서관 = 134
3.3 로마 도서관의 통제 = 147
4 중세 암흑기의 수도원 도서관의 흥망사 = 153
4.1 수도원 도서관의 파괴상 = 157
4.2 암흑기에도 책을 기록한 까닭 = 159
4.3 지식이 사슬에 묶인 까닭 = 165
4.4 책 얼간이(Book fool)들의 7가지 유형 = 172
5 중국에서의 지식인과 책의 학살사 = 177
5.1 진 시황제의 분서갱유의 파노라마 = 180
5.1.1 분서갱유를 위해 황제의 칭호를 얻다 = 181
5.1.2 분서갱유의 발단 = 185
5.1.3 분서갱유의 장본인 이사 = 199
5.1.4 분서갱유의 파노라마 = 217
5.2 비블리오매니아 원제 = 226
5.3 중국 최고의 장서가 범흠과 천일각의 비애 = 232
5.3.1 명ㆍ청대의 서적 문화 = 234
5.3.2 중국 최초의 장서가 범흠 = 236
5.3.3 장서각으로서의 천일각 = 239
5.4 서삼치(書三痴)의 기원 = 246
5.5 제2의 분서갱유 문화대혁명의 사상적 측면 = 253
5.6 인도네시아의 사회주의 서적 '분서갱유' = 258
6 마야 문명의 분서사건 = 263
6.1 마야 문명의 특성 = 267
6.2 네 개의 옥수수인간 = 273
6.3 란다 대주교의 코텍스 문서 분서 = 276
7 프랑스 국립도서관과 지옥의 도서관 = 281
7.1 에로틱한 문학작품이 소장된 지옥의 도서관 = 288
7.2 성(性) 후작 마르키스 드 사드 = 292
7.2.1 샤렝텐 정신병원에 감금 = 296
7.3 소각명령을 받은 루소의 「에밀」 = 299
8 히틀러의 나치식 분서의식 = 307
8.1 분서의 도시에서 문화도시로 부활하려는 베를린의 꿈 = 308
8.2 책들의 승천, 책의 무덤 기념관 = 311
8.3 미학적으로 연출된 나치의 분서축제 = 312
8.4 살아남은 자의 슬픔, 브레히트의 시 「분서」 = 317
8.5 히틀러의 금서 제1호 풍속의 역사 = 320
8.5 나치식 분서갱유와 퇴폐미술전 = 323
8.7 히틀러 그리고 니벨룽겐의 노래 = 325
8.8 안나 아말리아 공작부인 도서관의 화염 = 335
9 보르헤스와 에코의 도서관 이미지 = 343
9.1 보르헤스(Jorge Luis Borges)의 생애 = 346
9.2 보르헤스와 도서관의 인연 = 355
9.2.1 미겔 까네 시립도서관의 사서 = 359
9.2.2 독서가 장난감이었던 보르헤스 = 360
9.2.3 반 페론 지식인 선언 = 362
9.2.4 국립도서관장이 되다 = 364
9.2.5 바벨의 도서관 = 366
9.3 장미의 이름으로 지식인의 처벌 = 375
9.3.1 움베르토 에코의 생애 = 375
9.3.2 장미의 이름으로 지식인을 처단 = 379
9.3.3 장미의 이름에서 "장미"의 상징성 = 385
9.3.4 미궁의 도서관에서의 장미의 상징성 = 396
10 처칠의 목욕탕 독서행태와 도서관론 = 405
10.1 처칠의 주당, 골초이야기 = 407
10.2 처칠의 독서습관과 도서관론 = 412
나오는 로고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