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료유형 | 단행본 |
개인저자 | 주성택 ,
역 정연길 , 역 최종필 , 역 박찬규 , 역 |
단체저자명 | 日本體育.スポ-ツ經營學會 편; |
서명/저자사항 |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 /일본 체육·스포츠경영학회 ; 주성택 [외]공역. |
발행사항 | 서울 : 대한미디어 , 2007. |
형태사항 | 200 p. : 삽도 ; 26 cm. |
원표제 | 綜合型地域スポ-ツクラブ |
ISBN | 8956541574 9788956541570 |
일반주기 | 공역자: 정연길, 최종필, 박찬규. |
서가에 없는 책 찾기
모바일발송
No. | 소장처 | 청구기호 | 등록번호 | 도서상태 | 반납예정일 | 예약 | 분관대출 | 서비스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중앙도서관/제3자료실(4층)/ | 796.069 2007 | 111422046 | 대출가능 |
![]() |
|||
2 | 중앙도서관/제3자료실(4층)/ | 796.069 2007 | 111422047 | 대출가능 |
![]() |
목차
저자서문 = 7
역자서문 = 9
제1부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기초이론
제1장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과 일본의 스포츠 시스템 = 12
1. 21세기형 스포츠 시스템과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 = 12
2. 민간스포츠ㆍ피트니스클럽의 역할과 공존 = 14
3. 학교체육과 기존 스포츠 단체와의 관계 = 15
4. 도도부현(都道府縣)ㆍ시구정촌(市區町寸)에서의 스포츠 진흥계획의 방향 = 16
5. 자율적인 주민을 어떻게 육성하며 조직할 것인가 = 19
6. 마무리 = 21
제2장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실상과 허상 = 25
1.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은 새로운 시책인가 = 25
2.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사회적 배경 = 28
3.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사고방식 = 33
4.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기반 : 스포츠 진흥시책의 재평가와 체계화 = 36
5.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육성과 오해 = 37
제3장 지역사회 스포츠조직 및 단체 간의 새로운 관계조성 = 45
1. 클럽 조성과정과 운영에서 경쟁ㆍ경영 = 45
2. 혁신적 채용ㆍ정착과정에서 대립의 의의 = 49
3. 갈등을 어떻게 조절하고 극복할 것인가 = 50
4. 기존 조직ㆍ단체와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관계를 어떻게 구상하면 좋은가 = 52
제4장 주민주도형 클럽의 형성과 지원 = 59
1.「운동」으로서의 클럽 조직화 = 59
2. 클럽 조직화를 향한 지원 = 65
제5장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운영 = 70
1. 자주운영을 위한 조직과 사업 = 70
2.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경영과 자원조달 = 76
제6장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과 학교 개방 = 79
1.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 만들기에 있어서 학교구의 의미 = 79
2. 학교 개방의 현대적 의미 = 80
3. 학교 개방의 현실과 과제 = 83
4. 학교 개방의 새로운 전개 :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으로 = 85
5. 마무리 = 88
제7장 체육행정 시스템의 현상과 기대되는 역할 = 90
1. 요구되는 스포츠 행정의 전환 = 90
2. 지방분권ㆍ주민자치와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 = 90
3.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에 필요한 지역스포츠 자원 = 94
4. 생애스포츠 진흥에서 체육ㆍ스포츠 행정의 역할 = 96
5. 행정 시스템은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 = 98
제8장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 육성과 학교체육의 개혁 = 101
1. 들어가며 : 한 사람 한 사람이 풍요로운 환경창조에 참가하는 시대로 = 101
2. 생애스포츠 발전의 토대가 되는 학교체육의 의미 = 102
3. 요구되는 운동부활동 개혁 = 103
4. 운동부활동 개혁의 방향성 = 106
5. 운동부활동에서 학생 자치란 무엇이며, 그것을 어떻게 구체화할 것인가 = 108
6. 마무리 : 학교 교사도 클럽 회원으로 = 112
제2부 사례로 배우는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육성방법
제9장 클럽 설립과정(Process)을 배운다 = 118
1. 들어가며 = 119
2. 지역 특성과 스포츠 진흥의 경위 = 119
3.「후쿠노초우(菱福野町) 스포츠클럽연합」의 설립 = 120
4. 종합형「후쿠노 스포츠클럽」의 발전 = 121
5.「NPO법인 후쿠노 스포츠클럽」의 탄생 = 125
6. 클럽의 현재와 미래 = 128
제10장 클럽 직원의 활동의욕을 높이는 사업창조 = 132
1. 들어가며 = 133
2. 야마다이(山直) 스포츠클럽의 창설과정 = 133
3. 클럽의 일체감(identity)을 높이는 사업 창조 = 136
4. 마무리 = 140
제11장 클럽을 정착시키는 매니지먼트 = 145
1. 들어가며 = 146
2. 설립 경위 = 146
3. 오오타니(大谷) 커뮤니티스포츠클럽의 정착과 운영상의 전환기 = 147
4. 회원에 의한 클럽 평가 : 회원의 설문 조사 결과를 기본으로 = 150
5. 클럽 정착을 위한 매니지먼트 : 오오타니 클럽에서 배울 점 = 154
6. 오오타니(大谷) 커뮤니티스포츠클럽의 이후 과제 = 156
제12장 클럽하우스 확보의 의미 = 159
1. 거점으로서의 클럽하우스의 역할 = 159
2. 클럽하우스의 현상과 의의 = 160
3. 클럽하우스 확보까지의 과정과 대처방법 = 162
4. 클럽하우스의 정비에 대한 조성제도의 활용 = 166
5. 마치며 : 클럽하우스 확보에 대해서 = 168
제13장 선행사례에서 배운다 = 170
1. 현 시점에서의 성과와 문제점 = 170
2.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을 크게 성장시키기 위한 조건 = 178
제14장 왜 클럽이 육성되지 않는가 = 182
1.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에 대한 오해 = 182
2. 자립한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을 목표로 = 188
3. 근대적 시스템으로서의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의 위험성 = 19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