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료유형 | 단행본 |
개인저자 | 정형기,
|
서명/저자사항 | (캠코더로 배우는) 영상제작의 첫걸음 =Video production /정형기 지음 |
발행사항 | 서울 :내하출판사,2018 |
형태사항 | 474 p. : 삽화 ;25 cm |
ISBN | 9788957174807 |
일반주기 | 이 책은 <영상제작의 첫걸음(2007, 한울)>의 개정판임 |
서지주기 | 참고문헌(p. 465)과 색인수록 |
서가에 없는 책 찾기
모바일발송
No. | 소장처 | 청구기호 | 등록번호 | 도서상태 | 반납예정일 | 예약 | 분관대출 | 서비스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세종학술정보원/인문자료실2/ | 778.5 2018 | 151341991 | 대출가능 |
![]() ![]() |
목차
Chapter 01 제1주 : 영상
강의1(30분) : 강의계획설명 = 16
강의2(90분) : 영상 = 16
(1) 영상이란 무엇인가 = 17
(2) 사람은 왜 영상을 만들었을까? = 18
(3) 영상과 현실 = 21
(4) 영상의 특성 = 22
(5) 영상을 만드는 목표 = 25
강의3(60분) : 영상 만들기 = 28
(1) 만드는 단계 = 28
(2) 만드는 방법 = 31
(3) 만드는 곳 = 36
(4) 제작요원 = 41
Chapter 02 제2주 : 캠코더
강의1(60분) : 캠코더(camcorder) = 54
(1) 카메라의 종류별 특성 = 55
(2) 왜 캠코더인가 = 61
(3) 캠코더의 구조와 기능 = 62
(4) 캠코더 관리법 = 64
강의2(60분) : 샷(shot) = 69
(1) 표준샷 = 70
(2) 카메라 관점을 기준으로 = 71
(3) 카메라 높이를 기준으로 = 71
(4) 연기자에 상대적인 카메라 자리를 기준으로 = 72
(5) 화면에 잡히는 사람 수를 기준으로 = 72
(6) 장면에서 기능하는 샷의 역할을 기준으로 = 72
(7) HDTV 화면에서 샷 잡기 = 73
(8) 샷 처리기법 = 74
실습(60분) : 캠코더로 찍는 연습 = 77
(1) 캠코더 작동법 = 77
(2) 샷 연습 = 77
Chapter 03 제3주 : 렌즈-화면구성 1
강의1(60분) : 렌즈(lens) = 82
(1) 초점 거리(focal distance) = 83
(2) 초점시야의 깊이(depth of field) = 84
(3) 초점 맞추기 = 86
(4) 카메라 각도 = 88
(5) 렌즈 구멍(lens aperture) = 90
강의2(60분) : 화면구성(composition) 1 = 96
(1) 균형 = 97
(2) 초점 = 100
실습(60분) : 렌즈 작동법, 화면구성 1 연습 = 102
(1) 렌즈 작동법 연습 = 103
(2) 화면구성 1 연습 = 104
Chapter 04 제4주 : 렌즈-화면구성 2
강의1(120분) : 화면구성 2 = 108
(1) 선 = 108
(2) 형태 = 111
(3) 율동(리듬, rhythm) = 113
(4) 황금분할 = 114
(5) 깊이 = 116
(6) 닫기(closure) = 117
(7) 화면구성의 실제 = 119
(8) 샷 구성- 영상으로 나타내기 = 122
(9) 샷을 펴나가기 = 127
(10) 30-3 법칙 = 128
실습(60분) : 화면구성 2 연습 = 129
(1) 화면구성 2 연습 = 129
(2) 샷구성 연습 = 130
Chapter 05 제5주 : 카메라 1
강의와 실습1(60분) : 카메라로 찍는 기본자세 = 134
(1) 카메라 받침대 = 136
(2) 찍는 기본자세 연습 = 138
강의와 실습2(120분) : 카메라 움직이기 = 139
(1) 옆으로 움직이기(pan) = 139
(2) 아래위로 움직이기(tilt) = 140
(3) 앞뒤로 움직이기(dolly) = 140
(4) 게걸음으로 움직이기(crab) = 142
(5) 선로위로 움직이기(track, or truck) = 143
(6) 공중으로 움직이기(crane) = 144
(7) 집(jib) = 144
(8) 줌 움직이기(zoom) = 145
(9) 겹쳐서 움직이기 = 146
Chapter 06 제6주 : 카메라 2
강의와 실습1(90분) : 동작선(line of action) = 150
강의와 실습2(90분) : 움직이는 대상 찍기 = 155
(1) 움직이는 차안에서 찍기 = 158
(2) 움직이는 화면 만들기 = 159
실습 = 162
(1) 움직이는 대상 찍기 = 163
(2) 움직이는 화면 만들기 = 163
Chapter 07 제7주 : 소리
강의(120분) : 소리 = 166
(1) 소리가 하는 일 = 166
(2) 소리의 성질 = 168
(3) 소리의 종류 = 173
(4) 떨리는 폭의 범위 = 175
(5) 두 쪽 귀 소리와 둘러싸는 소리(Stereo and Surround Sound) = 175
(6) 마이크(microphone, mike, mic) = 176
(7) 마이크의 기술적 특성 = 178
(8) 마이크 쓰는 법 = 181
(9) 마이크 놓기 = 186
(10) 소리 집어내기(sound pick-up) = 186
(11) 녹음 = 188
실습(60분) : 소리 집어내기 연습 = 202
Chapter 08 제8주 : 녹음, 조명
강의와 실습1(60분) : 캠코더 녹음 = 206
(1) 카메라 마이크 = 208
(2) 소리조정 범위 = 210
(3) 녹음에 앞서 생각해야 할 것들 = 211
(4) 소리 집어내기 = 212
강의2(120분) : 빛 비추기(lighting) = 214
(1) 빛 비추기의 기능 = 215
(2) 빛의 성질 = 221
(3) 빛의 종류 = 223
(4) 빛에 관해 생각해야 할 점 = 223
(5) 색온도 조절 = 226
(6) 빛의 밝기(brightness) 재기 = 227
(7) 빛원의 밝기와 그림품질 = 228
(8) 빛수준 맞추기 : 바탕빛(Baselight) = 229
(9) 그림자 = 231
(10) 빛 비추는 기구 = 233
(11) 빛 비추기(lighting) = 239
(12) HDTV의 색 특성 = 242
Chapter 09 제9주 : 전기
강의1(60분) : 전기 = 246
(1) 전기의 원리 = 246
(2) 전기의 단위 = 247
(3) 전기의 종류 = 247
(4) 회로 = 247
(5) 저항 = 248
(6) 전선을 잇는 장치(connector) = 248
실습(120분) : 빛 비추기 연습 = 249
(1) 색온도와 흰색균형 연습 = 249
(2) 과제 = 249
(3) 노출계 연습 = 249
(4) 3점조명 연습 = 250
Chapter 10 제10주 : 캠코더 조명
강의(90분) : 캠코더 빛 비추기 = 254
(1) 갚아주지 못하는 카메라 = 255
(2) 빛 비추는 방법 정하기 = 256
(3) 경제적인 빛 비추기 = 256
(4) 빛을 비출 때 생각해야 할 것들 = 257
(5) 빛을 비추는 방법 = 259
(6) 빛 비추기의 제한 = 261
(7) 빛의 조건에 따른 비추기 = 261
(8) 캠코더에 쓰는 빛 비추는 기구 = 265
실습(90분) : 캠코더 빛 비추기 연습 = 267
Chapter 11 제11주 : 미술(무대장치)
강의1(90분) : 미술 1 = 270
(1) 무대장치(set) = 270
(2) 무대장치의 형식 = 272
(3) 캠코더로 바깥에서 찍을 때의 뒷그림 = 274
(4) 뒷그림을 고치는 방법 = 277
(5) 부분 무대장치 = 279
실습(90분) : 무대설치 연습 = 280
(1) 대담 프로그램 무대설치 = 280
Chapter 12 제12주 : 미술(자막, 도표, 분장)
강의1(60분) : 미술 2 = 284
(1) 자막(title)과 도표(graphic) = 284
(2) 자막과 도표 만들기 = 285
(3) 오늘날의 자막과 도표 = 287
(4) 문자발생기(character generator, C.G.) = 287
(5) 도표의 형태 = 289
강의2(60분) : 미술 3 = 293
(1) 분장 = 293
(2) 옷(costume) = 301
실습(60분) : 미술 2, 3 연습 = 303
(1) 자막과 도표 만들기 = 303
(2) 분장과 옷 입기 = 303
Chapter 13 제13주 : 프로그램 기획
강의(60분) : 프로그램 기획 1 = 306
편성기획 = 307
(1) 개편과정 = 307
제작 기획 = 308
(1) 소재 고르기 = 309
(2) 주제(thema, subject)의 결정 = 313
(3) 구성 = 318
(4) 대본(script)쓰기 = 320
(5) 나오는 사람 뽑기 = 323
(6) 제작방식 결정 = 324
(7) 제작비 계산 = 325
(8) 프로그램 제작계획서 쓰기 = 326
강의2(60분) : 프로그램 기획 2- 다큐멘터리 = 329
(1) 프로그램 유형 = 330
(2) 특성 = 330
(3) 기획과정 = 332
실습(60분) : 5분짜리 다큐멘터리 기획연습 = 346
(1) 소재 정하기 = 346
(2) 주제 정하기 = 347
(3) 구성안 만들기 = 347
(4) 촬영대본 쓰기 = 347
(5) 5분짜리 다큐멘터리 만들기의 예 = 348
Chapter 14 제14주 : 프로그램 연출
강의(120분) : 연출(directing) 1 = 356
(1) 연출의 기능 = 357
(2) 연출과정 = 360
(3) 연출에 쓰는 말 = 373
실습(60분) : 과제물 보충촬영(1) = 379
Chapter 15 제15주 : 카메라 연출기법 1
강의(120분) : 카메라 연출기법 = 382
실습(60분) : 과제물 보충촬영 = 395
Chapter 16 제16주 : 카메라 연출기법 2
강의와 실습(180분) : 이야기 나누는 장면의 연출기법 = 398
(1) 앞면에서 찍기(frontality) = 399
(2) 이야기 나누는 장면 찍기 : 두 사람 = 403
Chapter 17 제17주 : 편집
강의1(90분) : 테이프 편집 = 412
(1) 손으로 하는(수동) 편집 = 412
(2) 편집기를 쓰는 편집 = 413
(3) 컴퓨터를 쓰는 편집 = 414
(4) 카메라 편집 = 415
(5) 편집의 기능 = 417
(6) 편집방식 = 417
(7) 편집기법 = 424
(8) 편집과정 = 430
강의와 실습(90분) : 테이프 편집 2 = 432
(1) 그림 바꾸기 = 432
(2) 소리편집 = 437
(3) 편집원칙 = 439
(4) 편집윤리 = 443
실습 : 테이프 편집 연습 = 444
Chapter 18 제18주 : HDTV
강의(90분) : 아주 깨끗하고 밝은 텔레비전(HDTV, High Definition Television) = 448
(1) HDTV의 특성 = 449
(2) HDTV 영상 만들기 = 450
(3) 카메라로 찍기 = 451
(4) HDTV의 미학적 특성 = 462
실습(90분) : 과제물 편집 = 464
참고문헌 = 465
찾아보기 = 46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