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서론 = 1 1.1 연구 배경 = 1 1.2 연구 목적 = 2 1.3 연구 내용 및 범위 = 2 2. 국내·외 기술개발 및 관련 연구 조사 = 7 2.1 도로안전성 조사 차량 = 7 2.1.1 이동측량 시스템 = 7 2.1.2 GPS 관련 연구 = 9 2.1.3 IMU 관련 연구 = 10 2.2 도로안전성 조사 분석 = 10 2.2.1 시거평가 방법 = 11 2.2.2 속도 = 14 3. 도로안전성 조사 분석 차량 개발 = 19 3.1 도로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하구조 요소 정의 = 19 3.2 도로 안전성 정보 수집 방안 = 20 3.3 탑재 센서 = 22 3.3.1 위치 정보 획득 장비 = 22 3.3.2 영상 획득 장비 = 40 3.4 도로안전성 조사 분석 차량 설계 = 41 3.5 다중 센서 통합 및 동기화 방안 = 44 3.5.1 센서 동기화 방안 = 44 3.6 위치 정보 획득 소프트웨어 개발 = 48 3.6.1 관성항법 센서와 알고리즘 = 48 3.6.2 도로안전성 조사 분석을 위한 위치 계산 컴포넌트 개발 = 77 3.6.3 도로안전성 조사 분석을 위한 위치 계산 컴포넌트 테스트 = 85 4. 평면선형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= 91 4.1 평면선형 분석 알고리즘 = 92 4.1.1 평면곡선부 시·종점 판단 = 93 4.1.2 평면곡선부 내 완화곡선과 원곡선 판단 = 94 4.1.3 원곡선 기하구조 정보 획득 = 99 4.1.4 완화곡선 기하구조 정보 획득 = 101 4.2 평면선형 분석의 예 = 103 4.2.1 일반적인 평면곡선의 경우 = 103 4.2.2 복합곡선인 경우 = 108 5. 결론 및 향후 연구계획 = 113 5.1 결론 = 113 5.2 향후 연구계획 = 115 참고문헌 = 117 부록 A = 121 부록 B = 141 부록 C = 153 부록 D = 177 부록 E = 195